대구 동화사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대구 동화사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大邱 桐華寺 金堂庵 東·西 三層石塔)은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동화사 금당암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삼층석탑입니다. 1963년 1월 21일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248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금당암 극락전 앞에 동서로 자리하고 있는 2기의 석탑으로, 동탑의 높이는 5.62m, 서탑의 높이는 5.24m입니다. 동화사는 계곡을 중심으로 동서의 두 사역(寺域)으로 구분되는데, 금당암은 동쪽 사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두 탑 모두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입니다. 1957년 탑을 해체하고 복원하는 과정에서 탑신 윗면 사리공 안에서 99개의 공양탑(小塔)과 항아리 모양의 사리장치가 발견되었습니다. (국립대구박물관 전시 중)
동쪽의 탑은 2단의 기단 대부분이 나중에 보수된 것이라서 돌을 다룬 수법과 끝맺음 처리 부분에서 조화를 잃고 있습니다. 위층 기단의 각 면에는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습니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따로 새겨 쌓아 올렸으며, 각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을 뿐 다른 장식은 없습니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노반(머리장식받침), 복발(엎어놓은 그릇 모양의 장식), 앙화(솟은 연꽃모양의 장식), 보주(연꽃봉오리 모양의 장식)가 차례로 올려져 있습니다.
서탑은 위층 기단의 두 면에 가운데에만 기둥 모양을 새기고, 반대쪽 면의 기둥 사잇돌을 밀어 넣어 그 돌로 모서리기둥을 삼았습니다. 탑신부의 각 층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한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 뜬 조각을 두었습니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받치던 네모난 돌만 남아 있고, 그 위로 머리장식부의 무게중심을 지탱하던 쇠꼬챙이가 솟아 있습니다.
이 두 탑은 부분적으로 없어진 머리장식을 빼고는 전반적으로 보존이 잘 되어 있고 조각의 양식이나 끝맺음 수법이 서로 비슷하고, 균형 또한 잘 이루어져 경쾌한 느낌을 줍니다. 기단과 탑신, 그리고 머리장식부의 세부적인 양식에서 통일신라시대 후기의 전형적인 탑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동화사 창건시기의 면모를 살필 수 있는 석조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금당암은 스님들의 수행처로 평소에는 일반인의 출입이 엄격히 금지되지만, 부처님 오신 날에는 일반인에게 개방됩니다.
| 대구 동화사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대구 동화사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 |
| 영문 이름 |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at Geumdangam Hermitage of Donghwasa Temple, Daegu |
| 지정 번호 | 248 |
| 유형 | 보물 |
|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30, 동화사 금당암 |
| 소유자 | 동화사 |
| 시대 | 남북국 시대 |
| 문화재청 ID | 12,02480000,22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